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06

온라인 광고 대행사 AE로 마케터 생활 느낀점 온라인 광고 대행사 AE 때는 네이버 키워드 광고도 없었고 오버추어도 아직 국내에 들어오기 전이었습니다. 오프라인 광고와 이통사라는 대형 광고주에 있다가 광고 회사로 간 것도 일반적이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기존의 AE와는 다른 시야를 가지게 된 것 같기는 합니다. 왜 광고주를 하다가 온라인 광고 AE로 갔는가 이통사의 프로모터로 데이터 플랫폼 사전 론칭 체험 캠페인을 진행하면서 모바일 마케팅에 관심을 두게 된 것이 온라인 광고 AE를 하게 된 계기입니다. 아직 모바일 마케팅 관련 회사가 없는 관계로 가장 유사한 온라인 마케팅 대행사를 선택한 것입니다. 아직 모바일 웹 게임만 있던 시기 이통사들이 데이터 플랫폼을 론칭하면서 지금의 모바일 앱 같은 스탠드얼론 게임과 네트워크 게임이 시작되었습니다. 아직 피쳐.. 2021. 10. 8.
가격이 낮아 구매한다는 가성비 함정에 빠진 안다르 레깅스 낮은 가격에 좋은 품질의 제품을 소비자들이 좋아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기에 가성비 제품은 기존 경쟁 기업들이 점유하고 있는 시장을 침투하는 데 있어 가장 강력한 무기입니다. 안다르의 국내 레깅스 시장 진입과 확장에도 가성비는 강력한 무기이기는 했습니다. 매력적인 시장은 포화된다 안다르의 성공 이후 국내 가성비 레깅스 시장의 규모는 성장했지만 그 못지않게 여러 기업들이 뛰어들었습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 젝시믹스가 있습니다. 이미 가성비 레깅스의 주요 두 기업의 매출은 1276억 원에 달하게 됩니다. 이 당시 국내 전체 레깅스 시장 크기가 7527억 원 정도였습니다. 7527억 대비 1276억 원은 그리 커 보이지 않지만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 수준을 생각한다면 2019년 얼마나 많은 가성비 레깅스가 팔렸.. 2021. 10. 7.
혁신 없는 아이폰 13이 잘 팔리는 이유는 바로 브랜드 때문 아이폰 13이 출시됨에 따라 국내 언론에서도 아이폰에 대한 기사를 많이 발행하고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찾아볼 수 있는 아이폰 13 관련 기사 중 많은 기사들의 내용이 혁신이 없다는 것을 지적하는 기사입니다. 그런데도 잘 팔리고 있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프리미엄 제품에서는 브랜드가 가장 중요 어느 제품군이던지 프리미엄 제품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브랜드입니다. 패션에서 명품이라 부르는 제품군에서 가격을 나누고 판매량을 구분 짓는 것은 바로 브랜드 가치입니다. 이 정도 수준의 제품들의 품질은 어느 것 할 것 없이 일정 수준 이상 됩니다. 아니 품질이 안 좋았다면 프리미엄 수준까지 오르지 못했을 것입니다. 일단 중거가 제품이 아니고 프리미엄 단계까지 올라간 제품들은 2가지 공통점을 지닙니다. 품질은 여느 등급 .. 2021. 10. 4.
마케터가 가장 주의해야 할 것은 과거 성공한 마케팅 경험의 관성 크게 성공했던 기업이 갑작스럽게 큰 적자가 나거나 인수 합병되는 큰 이유 중 하나는 바로 곽거의 성공인 경우가 많습니다. 기업이 성장하면 과거와는 다른 환경에 처하게 됩니다. 그럼에도 마케터가 과거 환경의 성공 마케팅을 고집하게 되면 마케팅은 어려워집니다. 시장 환경은 변화하고 마케팅은 여기에 적응해야 한다 마케팅 기획 과정이 환경 분석에서 시작하는 것만큼 너무나 당연한 시장 환경은 변화한다는 사실이 실제 마케팅 현장에서 간과되는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이것은 바로 사람의 가진 사고 작용의 특징 때문입니다. 과거에 꼰대는 40대, 50대 경력 많은 관리직이었지만 요즘은 스타트업의 성공 이후 젊은 꼰대가 늘어나는 경향도 바로 사람의 사고 작용 특징 때문인데 마케팅 현장에서도 이런 경향은 나타나게 됩니다. .. 2021. 10. 2.
갤럭시의 앞선 신기능과 아이폰의 사용 경험 중 무엇이 더 혁신적인 것일까? 아이폰13 출시와 함께 아이폰과 갤럭시 Z플립3, Z폴드3와 관련한 뉴스 기사들이 많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기사 사에서 이야기하는 혁신의 주된 기준은 스마트폰의 새로운 기능과 관련한 것 같습니다. 그런데 사용 경험의 향상은 기술 혁신과 관련 없는 것일까요? 혁신 기술의 지향점 기사를 보다 보면 드는 생각이 핵신 기술의 지향점은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것입니다. 새로운 기능의 개발이 혁신이라면 그 기능이 다소 사용에 부족하더라도 그 기업은 혁신 기업일 것입니다. 반대로 혁신을 사용 경험에 둔다면 신 기능 개발 만으로는 혁신이라 할 수 없고 최적화까지 완료하여 최고의 사용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때 혁신이라는 말이 적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주된 기사의 내용을 보면 혁신의 기준을 새로운.. 2021. 10.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