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1

외주 개발 시장의 뿌리 깊은 연공 서열 문화가 일으키는 문제 일단 저 역시 20년이 훌쩍 넘는 경력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라는 점을 밝힙니다. 개인적으로는 경력을 기반으로 한 초급, 중급, 고급의 연공서열적 단가 체계가 더 좋을 수도 있지만, 현장에서 보아온 너무 많은 문제로 인해 개인적 유리로 좋다고 하기에는 AI 시대인 앞으로가 걱정됩니다.   연공서열과 IT 시장 앞서 언급한 초급, 중급, 고급 기준은 역량이 아니라 나이와 경력을 기준으로 합니다.  여기서 나이와 경력이라는 표현이 매우 한국적인 문화에 자리 잡은 인식과 편법이 섞인 개념이라는 사실을 외주 개발 현장에서 일을 하다 보면 알게 됩니다. 나이가 많으면 일단 고급이라는 기준을 적용합니다. 여기에 석박사 학위까지 있으면 더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현상은 지속된 국내 경기 침체와 코로나 시기 커진 .. 2025. 3. 31.
왜 SI 회사는 프로젝트에 정규직 기획자를 투입하지 않을까? 프로젝트를 하다 보면 웹에이전시와 다르게 SI 기업은 프로젝트에 기획자를 투입하지 않기도 합니다. 투입한다고 해도 잠깐 투입하고 빼고는 합니다. 투입 인원도 적습니다. 그리고 개발자와는 다르게 정규직은 것의 없습니다. 심지어 회사 내 기획자가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프로젝트 경험과 비즈니스 관계를 참고하여 이를 이유를 생각하고 여기서 발생되는 문제 또한 알아 보겠습니다.   개발 프로젝트 비즈니스 관계자와 기획 개발 프로젝트의 사업 관계는 크게 개발을 요구하는 기업과 개발을 해주는 기업 간 발생하는 거래에서 이루어집니다. 이 말은 개발을 해주는 기업은 요구하는 기업의 말 대로 개발을 해주면 비즈니스적 역할을 다 한다는 의미가 됩니다.  여기서 기획의 역할에 대한 위치가 결정됩니다. 기획을 .. 2025. 3. 29.
가상화 데이터로 온라인 서비스 기획하기 새로운 서비스를 기획하는 시점에서 그 서비스의 사용자가 생기는 순간 어떤 반응이 있을지는 알기 어렵습니다. 또한 기획자가 인지하고 있는 기존 서비스 시장이 자신이 기획한 서비스가 새롭게 운영될 시 발생하는 시장 변화를 미리 알기도 어렵습니다. 이 때문에 가설을 기반으로 기획을 하게 됩니다. 이때 가설을 구성하는 데이터는 미래 기반이므로 가성화 데이터라 할 수 있습니다.   지금 사용자는 우리 사용자인가?가상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가설을 기획의 근간으로 하는 이유 중 가장 큰 것이 '지금 파악되는 사용자가 우리 서비스가 나왔을 때 서비스 이용자가 될 것인가?'에 대한 불확실성입니다. 서비스 기획 시점인 지금 데이터로 나오는 활발히 다른 유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이 미래 론칭하는 우리 서비스의 .. 2025. 3. 6.
UX 기획은 어떻게 앱/웹 기획, UI 기획과 다를까? UX를 단어로 보면 'User eXperience'입니다. 이를 한글로 보면 '사용자 경험'이 됩니다. UX는 주로 앱과 웹 같은 온라인 서비스에서 주로 사용되면 유사한 단어로 CX가 있습니다. 온라인 서비스에서 유저는 서비스 운영 기업 입장에서는 고객이기 때문에 같은 의미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UX는 어떻게 앱/웹 기획, UI 기획과 다른 것일까요?   UI와 UX 차이 아마 오랜 기간 온라인 서비스 분야에 종사했던 분들도 UI와 UX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고는 합니다. 심지어 저의 경우는 UX 컨설팅 자료를 보면 때때로 UI와 관련된 내용만 있는 케이스도 경험하였습니다. 이만큼 UI는 UX와 동일하게 사용되기도 하지만, 엄밀히 이 둘은 완전히 다른 개념입니다. UI 단어로 보면 'User I.. 2025. 3. 3.
개인화, 데이터, 알고리즘 기획자가 보는 온라인 비즈니스 구성 기획자로써 데이터를 통해 개인화를 서비스하는 알고리즘을 고민하는 이유는 온라인 비즈니스의 경쟁력, 수익성 때문입니다. 과거 공연 개인화 추천 플랫폼을 할 때 어떻게 하면 데이터를 활용하여 플랫폼에서 더 나은 수익성 있는 사용자 경험을 만들 수 있을까 하는 고민도 이와 관련된 것이었습니다.   데이터 그것이 문제다 데이터를 활용하여 개인화 알고리즘을 설계, 개발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먼저 데이터를 충분히 확보해야 합니다. 이러한 데이터 확보는 상당한 비용이 수반되는 일입니다. 게다가 단순히 많은 데이터는 많은 관리, 분석 비용을 가져올 뿐입니다. 그러므로 효율적인, 효과적인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데이터를 이렇게 선별적으로 확보하는 것은 어려울 뿐 아니라 사전에 상당한 기획을 통해 준비/확보를.. 2025. 2. 24.
인공지능(AI), 인간 지능(HI)에 대하여 생각해 보다 앞으로 IT 분야 화두는 AI, 인공지능일 것입니다. 단지 프로그램뿐 아니라 클라우드(cloud), 반도체(GOU, NPU, HBM 등), 데이터 등 향후 몇 년간은 계속될 것 같습니다. 그래서 무기체 하드웨어와 전기 신호를 바탕으로 하는 인공지능(AI)과 유기체 하드웨어와 전기, 화학 신호를 바탕으로 한 인간 지능(HI) 차에 대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기억과 인출, 처리 개인적인 생각으로 인공지능(AI)과 인간지능(HI)의 근본적 차이는 기억과 인출, 처리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인공지능(AI)은 막대한 데이터 저장 능력을 바탕으로 한 인간지능(HI)에 비해 압도적 기억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동시에 인출하여 처리하기 위해 고대역 메모리가 필요하고 병렬 처리가 필요합니다. 이 때문에 인공지능(.. 2025. 1. 25.
수익성 있는 온라인 서비스의 기획 방법 - 서비스 사업 관점에서 시장 분석의 중요성 경쟁, 더 나은 서비스, 기능과 UI 등이 우수한 앱과 웹 개발 등 여러 이유가 있을 수 있겠지만 사업 측면에서 보면 투자와 비용 관리 때문에 시장분석은 중요합니다. 적절한 투자, 비용 관리를 하지 못하는 온라인 서비스는 개발만 하다가, 사용자만 모으다 비용을 감당 못해 사라질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온라인 서비스의 수익 과정 비즈니스 기획 측면에서 매출을 내지 못하는 앱과 웹 서비스, 이익이 나지 않는 앱과 웹 서비스는 유지될 수 없습니다. 개발자 관점에서 기술적으로나 코딩, UI적으로 뛰어난 앱과 웹인데 자꾸 기획자가 수익성을 언급하면 짜증이 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개발자의 월급도, R&D 비용도, 프로그램 구입 금액도, 맥북 구매도 수익을 내지 못하는 기업에서는 불가능한 일입니다.  투자로 .. 2024. 12. 8.
수익성 있는 온라인 서비스의 기획 방법 - 서론 온라인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오프라인이 아니라 온라인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 유형을 일컫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온라인 특징과 서비스 특징이 온라인 서비스에는 나타나게 됩니다. 이는 프로그램 개발과 이용 매체 특성과는 구별되어야 합니다.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간단한 정리 온라인 서비스는 온라인 상태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러기에 서비스 이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습니다. 이때 서비스 이용자가 이용하게 되는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앱 또는 웹 사이트 형태로 제공되는 것입니다. 과거에는 작은 휴대용 디바이스인 휴대폰은 성능 및 화면 크기 한계로 서비스 이용이 제한적이었습니다. 그러나 스마트폰이 나온 지금은 그 한계가 많이 해소되었습니다. 그래서 오히려 휴대용 디바이.. 2024. 1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