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후 작성 된 글들을 통해 앱이나 웹 같은 온라인 서비스가 준비되고, 개발되고, 운영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전반적인 관련 기획에 대한 내용을 정리합니다.
이 정리는 기획자 관점의 정리이므로 개발 설계 및 디자인 관련 기획 내용 관련해서는 다소 부족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앞으로 정리할 내용들이 기획의 정답을 의미하는 것도 아닙니다.
이 내용들은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전체 프로세스 상에서 경험 상 기본이 되는 기획 사항을 짚어 가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그러므로 꼭 이렇게 기획해야 한다는 시점이 아니라, 왜 이런 기획 흐름을 가져야 하는지를 생각하면서 볼 때 의미를 가집니다.
이 글에서 정의하고자 하는 것은 수익을 위해 또는 경쟁 우위, 더 나은 점유율 확보와 유지를 위해 온라인 서비스를 계획하고 개발하고 운영하기 위한 기획입니다.
이는 전체 기획 프로세스의 한 영역에 해당하는 사업 기획이나 서비스 기획, 개발을 위한 기획과는 구별되어야 합니다.
기획자가 알아야 하는 부분 최적의 합은 전체 최적의 합보다 작다는 개념, 시스템/유기적 사고 등에 기반하여 정의된 온라인 서비스의 일반적 목적성에 대한 기획적 사고입니다.
목적은 달성되어야 의미가 있기에 전체 서비스에 대한 기획이 되었던, 각 세부 부분에 대한 기획이 되었던,
모든 기획은 시간의 축을 토대로 프로세스(과정) 하에서 이루어질 때 의미를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제 우리가 앞으 정리할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기획 내용은 단순히 앱/웹이나 IT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수익성과 가치라는 목적성에 기반한 기획 프로세스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짧게나마 온라인 서비스 관련 전체 기획 과정의 단계별 마일스톤에 해당할 수 있는 분야별 기획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 또한 수익성 있는, 가치 높은 온라인 서비스를 목표로 하는 기획에 기반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수익성과 가치 측면에서 때로는 부분 최적화에 미흡한 기획적 판단이 내려질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판단은 부분 기획과 전체 기획의 충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충돌이 잘못된 앱/웹 진행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는 전략적 온라인 서비스 계획을 달성하기 위한 전술적 선택 측면에서 생각하여야 할 부분일 뿐입니다.
명심할 것은 기획은 목적성과 전체성과 다른 분야와 유기적 연결성과 상호 작용,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기반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