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을 진행하는 데 있어 체계화는 기획을 공유하는데 중요한 효율화 기준입니다. 코딩이나 디자인과 다르게 앱 개발 시 기획 작업만으로 하나의 완결된 결과를 가져올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기획의 결과물은 다른 앱 개발을 위한 기능 기술과 연결되어야 하고 이는 공유를 통해 이루어지게 됩니다.
앱 개발에 기획자가 없다면
앱 개발 시 기획자가 없다고 앱을 개발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실제 많은 앱 개발사가 개발자와 소수의 디자이너만으로 구성되어 있기도 합니다. 또한 기획자가 있다고 해도 사업 기획이나 마케팅 기획을 담당하지 직접적인 앱 기획은 아닌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사업 분야가 앱이고, 마케팅 프로덕트가 앱이기에 이러한 기획 내용이 어느 정도는 앱 개발과 연결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많은 경우 앱 개발이 전문적인 기획자 없이도 진행되고는 합니다.
그러나 앱이 복잡하거나 전략적 특수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 기획의 역할이 필요하게 됩니다. 앱 개발의 일관성과 방향성을 구체화하기 위해서입니다.
특히 사업 기획자가 앱 개발자와 앱 개발을 위한 업무적 상호 작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사업 기획자와 개발자 사이 좀 더 앱 개발 기술과 사업 기획에 이해도가 있는 기획자가 필요하게 됩니다.
이러한 기획자의 역할을 개발 적절성과 전략 실행에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게 됩니다. 마치 광고 회사에서 고객 기업 마케터의 전략을 크리에이티브 팀에게 광고 마케팅적으로 기획하는 AE의 역할과 비슷할 것입니다.
광고 회사 중 AE 역할이 극도로 제한되거나 거의 없는 크리에이티브 부티크도 있다는 점에서 이는 앱 개발에서도 마찬가지라 할 것입니다. 그리고 종합광고대행사의 경우는 AE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앱 개발의 기획자의 역할을 앱 개발 분야 경험이 없더라도 추론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앱 기획의 체계화란
목표와 계획이라는 기획자의 역할에서 처럼 체계화란 앱 개발의 대상과 무엇을 어떻게 개발해야 할지를 쉽게 파악하게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프로그래머나 디자이너의 작업 그 자체를 말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됩니다. 특히 앱을 이용하면서 보게 되는 화면으로 인해 화면 설계의 경우 기획인지 디자인인지 모호한 기획 문서가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레퍼런스가 되는 다른 앱이 있기에 쉽기 때문입니다.
이런 문서라면 기획 문서라 할 수 없고, 당연 체계화 된 기획 작업이라 할 수도 없습니다.
체계화란 기획 내용을 통해 프로그래머와 디자이너가 어떻게 작업을 해야 하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지, 코딩 설계, 디자인 설계 자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다면 다시 기획자가 필요한가에 대한 논의로 넘어가게 될 것입니다. 개발자가 하면 되는 작업이기 때문입니다.
체계화가 부족한 기획 작업은 개발자가 기획 내용을 통해 앱 개발의 내용과 방향성을 파악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하는 기획이 아닌 것이 됩니다. 이런 기획은 프로그래머나 디자이너가 할 수 있지만 업무 상 중요하지 않거나 귀찮은 작업이라 기획자라는 직무를 두어 보조하는 작업을 지칭하는 것이 됩니다.
체계화 방법
기능/화면 정의서나 스토리보드 작성과 관련하여서는 각 프로젝트나 개발사의 공통 문서 양식을 따르면 됩니다. 이때 확인해 보아야 하는 것은 내용의 구분과 파악의 용의성 있는 양식인가에 대한 것입니다.
충분히 기획의 목표한 개발에 대한 작업의 구분과 파악이 용이한 양식이 존재한다면 그것이 어떠한 것이든 문제는 없습니다. 법률적으로나 관습적, 학문적으로 정의된 기획 문서 양식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개발 프로젝트가 많이 진행됨에 따라 스토리보드는 어떠해야 한다 등의 기본 구성은 어느 정도 있기는 합니다. 이 또한 관습법적 개념이 아닌 주요 기업들에서 요구하는 문서 작성 방식 또는 산출물 제출 양식 등이 반복되어 이를 경험한 다수의 개발자가 익숙해졌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이는 흔히 기획 시 작업되는 IA 또는 메뉴, 콘텐츠 그룹화, 정보 스키마 등을 통해서 적용되는 UI와 UX 설계 개념에서 이해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한 마디로 체계화는 도서관에서 책을 분류하거나 앱 개발 시 정보 구보(IA)를 설계하는 것에서 아이디어를 채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UX 작업을 하는 경우 인지 정보의 스키마를 통해서도 앱 기획 체계화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앱 프로젝트를 경험한 적이 있는 기획자라면 기획 체계화에 대한 내용은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기획 과정에서 이미 생각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그리고 언제나 앱 기획 과정에서 고민하는 내용 자체이기도 합니다.
댓글